Cold Case Profiling
2. 부산 아동 연쇄 살인 사건
  I. 도입
  II. 전개
  III. 분석
      1) 프로파일링 맵
      2) 사건 정리
      3) Montage
      4) 프로파일링 결과
  IV. 의혹
  V. 현재




부산 사인펜 살인마
1975년 8월 20일, 24일 부산에서 일어난 어린이 연쇄살인 사건.
피해자의 신체에 낙서를 하고 경찰을 조롱하는 등 범인은 굉장히 치밀하고
광기어린 사이코패스이다. 예쁜 어린이만을 대상으로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
보아 소아성애증까지 지녔으며 후에 추가적인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.

사건 일지

1차 : 김현정 양 피살사건

그림1
그림2
그림3
그림4
그림5
그림6
그림7
그림8
그림9
그림10
그림11
그림12
그림13
그림14
그림15
그림16
그림17
그림18
그림19
그림20
그림21
그림22

2차 : 배준일 군 피살사건

그림1
그림2
그림3
그림4
그림5
그림6
그림7
그림8
그림9
그림10
그림11
그림12
그림13
그림14
그림15
그림16

0차 : 이정숙 양 살인미수사건

그림1
그림2
그림3
그림4
그림5
그림6
그림7
그림8
그림9
그림10
그림11
그림12
그림13
그림14
그림15
그림16
그림17
그림18

프로파일링 맵

[ 1975년 8월, 부산 아동 연쇄 살인 사건 상황도 ]




사건 정리

[ 1975년 8월 25일, 배준일 군의 시체가 발견된 부산 남향매립지의 사과상자 더미에서 수사관들이 현장검증을 하고 있다.]


1차 : 이정숙 양 살인 미수 사건 2차 : 김현정 양 피살 사건 3차 : 배준일 군 피살 사건
실종 시각 1975년 8월 18일 pm 11:00 1975년 8월 20일 pm 08:00 1975년 8월 24일 pm 07:00
실종 장소 부산직할시 진구 범천동 부산직할시 서구 장림동 부산직할시 동구 좌천동
발견 시각 1975년 8월 18일 pm 03:00 1975년 8월 21일 pm 05:45 1975년 8월 24일 pm 08:00
발견 장소 부산직할시 진구 범천동 대신공원, 어느 등산객이 피해자의 신음소리를 듣고 구출됨 부산직할시 중구 동광동 용두산공원, 인근 숲 속 부산직할시 서구 충무동 공동어시장 옆 생선상자 적재장
사인 경부 압박으로 인한 질식사, 손과 발이 결박된 채 발견 경부 압박으로 인한 질식사, 런닝셔츠로 손과 발이 결박된 채 발견
비고 범인은 여아가 입고 있던 옷으로 질식사시켰다고 생각했으나 묶여있던 허리띠가 늘어나 구사일생.
범인은 여아의 이름과 집 전화번호를 캐냄
구출받은 후 기억을 토대로 범인의 몽타주가 배포.
8월 하순이라 아직 해가 떠 있는 시간이고 주택가여서 무모한 범행 불가, 목격자 존재 X
이마와 우측 귀 밑에 심한 타박상 발견.
팬티만 착용한 상태에서 손과 발이 러닝셔츠와 벨트로 묶임. 옷과 신발은 발견되지 않음.
8월 하순이라 아직 해가 떠 있는 시간이고 주택가여서 무모한 범행 불가, 목격자 존재 O
1975년 8월 24일 pm 10:00경, 좌천동에서 신문에서 봤던 배 군과 닮은 어린이를 데리고 있는 30대 남성을 충무동 수산센터 앞까지 태워다 줌.



Montage


  • 나이 : 20 ~ 30세 정도
  • 신체 : 170cm 전후의 왜소한 체형
  • 외모
    1. 머리를 짧게 깎아 두 귀가 드러남
    2. 코 옆에 점 2개, 입술 위에 쌀알만한 점 1개
    3. 둥근 얼굴에 미간이 비교적 높았음
  • 착의 : 베이지색 남방 셔츠에 흰색 바탕의 회색
    줄무늬가 있는 바지, 슬리퍼형 구두 착용

[경찰이 수배한 범인의 몽타주]




프로파일링 결과


"히스테리성 인격장애를 가진 소아성애증 사이코패스"


범인은 주로 10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범행을 저질렀고 흉기도 없이 상의를 찢어 손발을 묶고 교살시켰다. 또 해질녘에 사람들이 많았을 주택가에서 뻔히 납치해 범행을 진행했다. 아마 다른 사탕발림으로 아이들을 유인해내었을 것이다. 또 아이들을 살해한 직후 배에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말이 들어간 낙서를 하는 히스테리한 짓을 자행했고 김 양 살해 후 대놓고 경찰에 장난전화를 하면서 아예 조롱까지 했다. 이를 통해 범인의 성향과 정체를 유추해본 결과 이렇다.


  • 두 아이와 부모가 서로 아무 연관이 없어 면식범의 소행으로 보기엔 어려움
  • 즉, 불특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범행이다.

  • 아이의 손발을 묶은 것은 어떠한 특정 행위의 상징이고 몸에 낙서를 한 것도 자기 자신만의 목적을 달성해 이를 마무리짓기 위한 행동으로 보인다.
  • 이로 보아 자신의 행동을 기록해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자하는 인면수심의 히스테리성 인격장애임이 틀림없다.

  • 아동의 성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에서 소아성애증(Pedophilia) 환자이며 목을 조르는 것에 성적 희열을 느꼈을 것이다.

  • 의문의 전화를 남긴 것은 수사를 해결하지 못하는 형사들에게 답답한 나머지 자신을 찾아봐라는 힌트를 남김으로써 자기가 마치 주인공인것 마냥 자아 도취에 빠져 만족감을 취했을 것임.

  • 이후 아동의 성만을 목적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아 추가 범죄 가능성이 농후하나 이미 다른 사건으로 검거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하긴 어렵다.



의혹

[ 1975년 8월 24일 ~ 28일, 5일에 걸친 유사 범행 사건 상황도 ]


이 사건이 있은 직후 부산 곳곳에서 아동을
대상으로 한 범행들이 무차별적으로 발생했다.


범행은 대부분 미수에 그쳤지만 비슷한 시기에 아동을 상대로 범행이 다수 발생했다는 점에서 이 범인들은 김 양, 배 군 피살사건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충분해 보였다. 이 무렵, 유사한 수법으로 피해를 당한 어린이들의 진술을 분석하여 좁혀진 범인의 윤곽은 170cm 가량의 왜소한 체형에 20 ~ 30대 남자로 앞의 살인 사건과 매우 유사한 사람임을 알 수가 있다.

8월 24일 pm 05:00 경, 좌천동에서 한 모 군을 연필깎이 칼로 위협하며 유괴를 시도하다 실패하자 추가 범행 대상을 물색하던 중 1시간 뒤 같은 동네에서 배 군을 유괴해 살해한 것으로 추정, 김 양과 배 군 살인 사건의 연결성으로 미루어 보아 분명 제 3의 범행이 필히 일어났을 것이며 그 범행은 아마 위 사건들 중 하나 아니면 두개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. 범죄심리학과 교수였던 표창원 교수는 <한국의 연쇄살인>에서 범인에 대해 "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20~30대 남성으로 이미 경찰 수사를 받은 적이 있었을 것이다"라고 언급하였다.




현재

[ 부산 유괴 살인 사건을 수사중인 본부. 밤과 낮이 따로 없다.]


誘拐犯 체포에 搜查力을 총동원하라.


사건이 끝난지 4일이 지난 1975년 8월 28일,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은 정부와 여당 연석회의에서 "수사력을 총동원해서 어린이 유괴범을 조속히 체포토록하라"고 지시를 했을 정도로 당시 사건의 파급력은 어마어마했다. 부산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어린이 유괴 예방을 위해 동네 안 어린이 놀이터와 골목길등 등·하교 길목에 당번을 배치하는 등 사회적으로 경각심을 심어주었다. 이에 경찰은 2만 여 명의 인력을 투입, 전국에 범인의 몽타주 수 만장이 배포되었다.

이후 부산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. 수많은 용의자가 검거되었지만 몇 개의 사건을 제외하곤 모두 이 사건의 범인과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다. 결국 범인은 체포되지 않았고 당시 형사소송법 상 살인죄의 공소시효는 만 15년이었으므로 1990년 8월 20일에 김현정 양 피살사건의 공소시효가 만료되었고 같은 해 8월 24일에 배준일 군 피살사건의 공소시효가 만료되었다. 결국 이 사건은 범인을 검거하지 못한 채 영구 미제 사건으로 남게 되었다.

범인은 지금쯤 그때 당시의 사건을 술안주 삼아
마음껏 비웃어대며 말년을 보내고 있을 것이다.












제보
부산 지방 경찰청
051-082